전 세계적으로 1만여 개체밖에 남아 있지 않은 귀한 조류

따사로운 3~4월이 되면 양양 남대천에 찾아오는 귀한 손님이 있다.

멸종위기야생생물 2급인 흰목물떼새다. 보통 3월경 우리나라에 건너와 3~4월에 짝짓기를 하고 4~5월 3~4개의 알을 낳고 부화하여 새끼를 키우고 8~9월경 남쪽으로 이동하는 여름철새다.

 

흰목물떼새는 보통 3~4개의 알을 낳는다.
흰목물떼새는 보통 3~4개의 알을 낳는다.

하천과 냇가의 자갈밭이나 해안의 모래밭, 논 등지에서 서식하는 흰목물떼새는 3∼5마리부터 15∼20마리까지 무리를 지어 생활하며 전 세계적으로 1만여 개체밖에 남아있지 않은 귀한 새다.

 

알껍질은 천적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멀리 버린다.
알껍질은 천적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멀리 버린다.

 

암컷과 수컷은 서로 교대하면서 육아를 한다.
암컷과 수컷은 서로 교대하면서 육아를 한다.

흰목물떼새의 알은 자갈과 비슷하고 새끼도 보호색을 띠고 있어 관찰하기가 쉽지 않지만 주로 사방이 탁 트인 자갈밭에서 육추를 하기 때문에 천적에게 발견되기 쉽다. 따라서 적이 나타나면 시선을 어미 새에게 집중시켜 적을 둥지에서 떨어뜨리기 위해 어미는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다친 척 연기를 하는 의태행동을 하는 조류로 유명하다.

 

새끼는 알에서 깨고 날씨가 포근해지면 바로 어미를 따라 물가로 이동한다.
새끼는 알에서 깨고 날씨가 포근해지면 바로 어미를 따라 물가로 이동한다.

양양 남대천에는 2015년 흰목물떼새 암수 한 쌍이 처음으로 관찰된 이후 금년에는 약 20여개체가 관찰되고 있다.

 

추우면 어미품으로 들어가 몸을 보호한다.
추우면 어미품으로 들어가 몸을 보호한다.

 

때론 물가에서 망중한을 즐기기도 한다.
때론 물가에서 망중한을 즐기기도 한다.

남대천에서 희귀조류가 다수 관찰되는 것은 서식여건이 그만큼 좋아졌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며 하천환경이 지금보다 더 잘 보존될 수 있도록 행정당국과 주민들의 관심이 필요하다.

 

흰목물떼새 유조
흰목물떼새 유조

 

흰목물떼새 어미, 아이라인이 선명하지 않다.
흰목물떼새 어미, 아이라인이 선명하지 않다.

 

꼬마물떼새, 노란 아이라인이 선명하다.
꼬마물떼새, 노란 아이라인이 선명하다.

첨부한 영상은 금년 3월부터 6월까지 짝짓기부터 포란 및 새끼를 키우는 과정을 촬영하여 편집한 동영상이다.

 

<흰목물떼새와 꼬마물떼새의 구분 방법>

흰목물떼새와 꼬마물떼새는 둘 다 자갈과 모래로 된 하천변에 사는 서식 환경과 생김새가 비슷하다. 흰목물떼새는 꼬마물떼새보다 좀 더 크며, 부리는 더 가늘고 길다. 결정적으로 꼬마물떼새는 눈테가 진한 노란색의 선명한 아이라인을 갖고 있으나 흰목물떼새는 색이 옅다.

.._
저작권자 © VDC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